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전망

기후변화

by 히트환경 2023. 9. 4. 23:24

본문

728x170

들어가기 전

한국 정부는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지원하기 위하여 학계와 협력하여 신규 온실가스 경로에 기반 한 한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1키로 수준의 해상도)를 산출하였다. 최신의 과학기술과 사회경제학적 요소가 고려된 한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현재(2000~2019년) 기후와 미래(2021~2100년) 기후변화에 대한 전망 정보를 알아보자.

 

국제동향

국제사회는 IPCC를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있으며, 2018년의 '지구온난화 1.5℃'특별보고서, 2019년의 '기후변화와 토지'특별보고서와 '해양 및 빙권'특별보고서, 2021년의 '6차 평가보고서 제1 실무그룹 보고서'발간을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이 심화됨을 강조하고 있다.

 

IPCC란?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기후변화 관련 정부간 협의체)로, 1988년에 설립되었으며 국제 연합환경계획(UNEP) 및 세계 기상기구(WMO)와 협력하여 활동한다. 이 기구는 주로 기후 과학, 해양 및 빙하 연구, 대기 화학, 기후 모델링 등과 관련된 세계적인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의 동향

국립기상과학원은 국제 기후변화 공동 연구에 참여하여 IPCC의 신규 온실가스 경로(SSP)를 기반으로 한 전지구 및 동아시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보고서'와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 보고서 2020'를 발간하였다. 참고로 국립기상과학원은 기상청 소속 정부기관으로, 주로 과학적 연구 및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지원하는 기관이다.

 

SSP란?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공통 사회경제 경로)이며, IPCC AR6에서 사용된 온실가스 경로이다. 

국제사회는 2021년 발간된 IPCC 6차평가보고서(AR6) 작성에 기여하기 위하여 각국의 기후 변화 예측모델이 참여하는 “국제 기후변화 시나리오 비교・검증 프로젝트(CMIP612))”를 추진 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글에서 계속.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