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후변화의 원인으로 인한 기후시스템 변화와 영향의 체계도

기후변화

by 히트환경 2023. 9. 8. 11:52

본문

728x170

오늘은 기후변화의 원인과 그 영향에 대해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피라미드 모형을 토대로 설명해보겠다.

기후변화 원인

기후변화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잘 알려져있는 온실가스는 빼먹을 수 없는 요인이다. 그리고 에어로졸은 조금 생소한 용어일 수 있는데 에어로졸은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작은 고체 및 액체 입자들을 지칭한다. 에어로졸은 배출 원으로부터 직접 배출되기도 하며 기체들이 공기 중에서 입자상 물질로 변환되어 생성되기도 한다. 에어로졸의 크기는 직경이 수 나노미터(nm)부터 수십 마이크로미터이다.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주는 기체 형태가 아닌 대기 중에 떠다니는 고체 및 액체 입자라고 보면 된다. 그리고 기존에 있는 토지에 대한 이용변화도 아주 크게 작용한다. 예를 들어,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삼림파괴가 이에 해당한다.

 

기후시스템 변화

이러한 기후변화 원인들은 명백히 인간에 의해서 일어나고 있다고 학자들은 대부분 동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후시스템에 변화가 일어난다. 이는 '기후'라는 장기적인 개념과는 상반되게 생각보다 빠르게 그리고 확실하게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가 경각심을 가져야한다고 본다. 그럼 기존의 기후시스템들이 어떻게 변화하는가? 맨앞에 나와있는 해수면 높이 상승을 주목해야 한다. 이는 나머지 모든 기후시스템 변화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요인이다. 육지와 대기의 해양 온난화가 되면서 빙하가 녹게 되고 결국 해수면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해양 산성화는 빙하가 녹는 것과 관련이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서 해양에 녹아들게 되는데, 이 때 해양에서 이산화탄소와 물이 반응하여 탄산산이 생성된다. 이 때 생성된 탄산산은 물 분자의 수소 이온을 빼앗아 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해양으로 이산화탄소가 녹아들어 해양 산성화를 유발하게 됩니다. 해양 산성화는 기후변화를 주도하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의 결과물로, 해양은 인간이 유발하는 모든 이산화탄소의 약 3분의1을 흡수해 변화를 일으키며 이는 해양생물, 생태계 건강, 해양에 의존하는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에게 심각한 위협이 된다.

 

그 외의 기후시스템 변화

또한 서식재배 환경변화, 산림면적 변화는 인간의 무분별할 개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두가지 기후시스템 변화는 토지이용 변화의 구체적인 두가지 예시로 볼수 있다. 이 두가지 변화는 자원개발의 일환이며 이를 제한하기 위해서 또한 삼림을 훼손한다는 것은 가히 역설적이기도 하다. 지구온난화로 대기현상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되면서 기온과 강수의 변동성이 증가하여 지구 전체적 물순환 변화와 우리 삶의 터전인 바다, 강, 호수의 수준에서도 변화가 일어나게 되면서 극한폭우, 극한폭염, 가뭄의 결과를 초래한다.

 

 

다음 포스팅에서 피라미드의 맨 마지막 부분인 기후변화 영향에 대해 이어서 설명하겠다.

관련글 더보기